능동 향사홀기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능동 향사홀기  Home  > 보학 > 능동 향사홀기 
 

陵洞 始祖墓 春秋享笏記

 

*厥明灑掃 布席陳饌(궐명쇄소 포석진찬) 이른 아침 깨끗하게 청소를 하고 자리를 편 뒤 제수를 차린다.
*行叅神禮(행참신례) 참신례를 행하겠습니다.
*初獻官以下 皆再拜(초헌관이하 개재배) 초헌관 이하 모든 참제원은 두 번 절 하십시오.
*行降神禮(행강신례) 강신례를 행하겠습니다.
*初獻官盥洗(초헌관관세) 초헌관은 관세위에 나아가 손을 씻으십시오.
*焚香 三上香(분향 삼상향) 헌관은 향안 앞에 꿇어앉아 향을 세 번 사르십시오.
*少退立(소퇴립) 일어서서 조금 물러서십시오.
*酹酒(뇌주) 술을 땅에 부어 강신하는 의식입니다.
*執事者一人 取盤盞 立于獻官之左 (집사자 일인 취반잔 입우헌관지좌) 집사자 한 사람 반잔을 들고 헌관의 왼쪽에 서시오.
*一人執酒注 立于獻官之右(일인집주주 입우헌관지우) 사준은 헌관의 오른쪽에 서시오.
*獻官受盤盞 東向立(헌관수반잔 동향립) 헌관은 잔을 받아 동쪽으로 향해 서십시오.
*執事者西向 斟酒于盞(집사자서향 침주우잔) 사준은 서쪽으로 향해 잔에 술을 따르시오.
*獻官跪(헌관궤) 헌관은 꿇어앉으십시오.
*左執盤 右執盞 灌于地(좌집반 우집잔 관우지) 왼손으로 잔받침을 들고 술을 땅에 세 번에 나누어 모두 부으십시오.
*以盤盞 授執事者 反之故處(이반잔 수집사자 반지고처) 반잔을 집사에게 주고 집사자는 원래자리에 놓으시오.
*俛伏興(면복흥) 헌관은 고개 숙여 엎드렸다가 일어나십시오.
*再拜(재배) 두 번 절 하십시오.
*降復位(강복위) 물러나 원래 자리로 돌아가십시오.
*行初獻禮(행초헌례) 초헌례를 행하겠습니다.
*初獻官詣 神位前(초헌관예 신위전) 초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아가십시오.
*執事者一人執酒注 立于獻官之右 사준은 헌관의 오른쪽에 서시오.
*獻官奉考位前盤盞 東向立(헌관봉고위전반잔 동향립) 헌관은 고위전의 반잔을 받들어 동쪽을 향하여 서십시오.
*執事者西向 斟酒于盞(집사자서향 침주우잔) 사준은 서쪽으로 향해 잔에 술을 따르시오.
*獻官奉之 奠于故處(헌관봉지 전우고처) 헌관은 양손으로 받들어 읍하고, 신위전에 올리게 하시오.
*奉妣位前盤盞 東向立(봉비위전반잔 동향립) 헌관은 비위전의 반잔을 받들고 동쪽을 향하여 서십시오.
*執事者西向 斟酒于盞(집사자서향 침주우잔) 사준은 서쪽을 향하여 잔에 술을 따르시오.
*獻官奉之 奠于故處 北向立(헌관봉지 전우고처 북향립 ) 헌관은 양손으로 받들어 읍하고, 신위전에 올리게 하고 북쪽을 향
해 서십시오.
*祭酒(제주) 술을 땅에 붓는 의식입니다.
*執事者二人 奉考妣位前盤盞 立于獻官之左右 (집사자이인 봉고비위전반잔 입우헌관지좌우) 집사자 두 사람은 각기 고위와 비위전의 반잔을 받들고 헌관 좌우에 서시오
*獻官 跪(헌관 궤) 헌관은 꿇어앉으십시오.
*執事者亦跪(집사자역궤) 집사자도 꿇어앉으시오.
*獻官受 考位前盤盞 右手取盞 祭酒于地(헌관수 고위전반잔 우수취잔 제주우지) 헌관은 고위전 잔반을 받아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절반을 땅에 세 번에 나누어 부으십시오.
*以盤盞授執事者 反之故處(이반잔수집사자 반지고처) 반잔을 집사자에게 주어 원래 자리에 올리게 하시오
*受妣位前盤盞 右手取盞 祭酒于地(수비위전반잔 우수취잔 제주우지) 비위전 반잔을 받아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절반을 땅에 세 번에 나누어 부으십시오.
*以盤盞授執事者 反之故處(이반잔수집사자 반지고처) 반잔을 집사자에게 주어 원래 자리에 올리게 하시오.
*俛伏興(면복흥) 헌관은 고개 숙여 엎드렸다가 일어나십시오.
*少退立(소퇴립) 조금 물러나 서십시오.
*執事者進炙(집사자진적) 집사자는 육적을 올리고 끈을 풀어 사지를 빼시오
*執事者二人分進正筯(집사자이인분진정저) 집사 두 사람이 나누어 수저를 바르게 놓으시오.
*啓飯蓋:(계반개) 밥그릇과 모든 뚜껑을 열고 편의 한지도 벗기시오.
*讀祝(독축) 축을 읽겠습니다.
*獻官及 在位者皆跪(헌관급 재위자개궤) 헌관 및 모든 참제원은 꿇어 앉으십시오
*祝執版 立於獻官之左(축집판 입어헌관지좌) 축관은 축판을 들고 헌관의 왼쪽에 서시오
*跪(궤) 꿇어앉으시오.
*讀祝(독축) 축문을 읽으시오
*皆興(흥) 모든 참제원은 일어서십시오.
*獻官再拜(헌관재배) 헌관은 두 번 절하십시오.
*降復位(강복위) 물러나 원래 자리로 돌아가십시오.
*執事者撤酒及炙(집사자철주급적) 집사자는 술과 육적을 내리시오.
*行亞獻禮:(행아헌례) 아헌례를 행하겠습니다.
*亞獻官盥洗(아헌관관세) 아헌관은 관세위에 나아가 손을 씻으십시오.
*詣神位前(예신위전) 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가십시오.
*執事者一人執酒注 立於獻官之右(집사자일인 집주주 입우헌관지우)사준은 헌관의 오른쪽에 서시오.
*獻官 奉考位前盤盞 東向立(헌관 봉고위전반잔 동향립) 헌관은 고위전 반잔을 받들어 동쪽을 향해 서십시오.
*執事者西向 斟酒于盞(집사자서향 침주우잔) 사준은 서쪽으로 향해 잔에 술을 따르시오.
*獻官奉之奠于故處(헌관봉지전우고처) 헌관은 양손으로 받들어 읍하고, 신위전에 올리게 하시오.
*奉 妣位前盤盞東向立(봉 비위전반잔동향립) 헌관은 비위전의 반잔을 받들고 동쪽을 향하여 서십시오.
*執事者西向 斟酒于盞(집사자서향 침주우잔) 집사자는 서쪽을 향하여 잔에 술을 따르시오.
*獻官奉之奠于故處 北向立(헌관봉지전우고처 북향립) 헌관은 양손으로 받들어 읍하고, 신위전에 올리게 하시오.
북쪽을 향해 서십시오.
*祭酒:(제주) 술을 땅에 붓는 의식입니다.
*執事者二人 奉考妣位前盤盞 立於獻官之左右 (집사자이인 봉고비위전반잔 입어헌관지좌우)
집사자 두 사람은 각기 고위와 비위전의 반잔을 받들고 헌관 좌우에 서시오
*獻官跪(헌관궤) 헌관은 꿇어앉으십시오.
*執事者亦跪(집사자역궤) 집사자도 꿇어앉으시오.
*獻官受考位前盤盞 右手取盞 祭酒于地(헌관수고위전반잔 우수취잔 제주우지)헌관은 고위전 반잔을 받아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절반을 땅에 세 번에 나누어 부으십시오.
*以盤盞授執事者 反之故處(이반잔수집사자 반지고처) 반잔을 집사자에게 주어 원래 자리에 올리게 하시오.
*受妣位前盤盞 右手取盞 祭酒于地(수비위전반잔 우수취잔 제주우지) 비위전 반잔을 받아 오른손으로 잔을 잡고 절반을 땅에 세 번에 나누어 부으십시오.
*以盤盞授執事者 反之故處반잔을 집사자에게 주어 원래 자리에 올리게 하시오.
*俛伏興(면복흥) 헌관은 고개 숙여 엎드렸다가 일어나십시오.
*少退立(소퇴립) 조금 물러나 서십시오.
*執事者進炙(집사자진적) 집사자는 어적을 올리고 끈을 풀고 사지를 빼시오.
*獻官再拜(헌관재배) 헌관은 두 번 절하십시오.
*降復位 (강복위) 물러나 원래 자리로 돌아가십시오.
*執事者 撤酒及炙(집사자 철주급적) 집사자는 술과 어적을 내리시오.
*行終獻禮 (행종헌례) 종헌례를 행하겠습니다.
*終獻官盥洗 (종헌관관세) 종헌관은 관세위에 나아가 손을 씻으십시오.
*詣神位前(예신위전) 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가십시오.
*執事者一人執酒注 立于獻官之右(집사자일인집주주 입우헌관지우) 사준은 헌관의 오른쪽에 서시오.
*獻官奉 考位前盤盞 東向立(헌관봉 고위전반잔 동향립) 헌관은 고위전반잔을 받들고 동쪽을 향하여 서십시오.
*執事者西向 斟酒于盞(집사자서향 침주우잔) 사준은 서쪽을 향해 잔에 술을 따르시오.
*獻官奉之奠于故處(헌관봉지전우고처) 헌관은 양손으로 받들어 읍하고, 신위전에 올리게 하시오.
*奉 妣位前盤盞 東向立(봉 비위전반자 동향립) 헌관은 비위전의 반잔을 받들고 동쪽을 향하여 서십시오.
*執事者西向 斟酒于盞(집사자서향 침주우잔) 사준은 서쪽을 향하여 잔에 술을 따르시오.
*獻官奉 之奠于故處 北向立(헌관봉 지전우고처 북향립) 헌관은 양손으로 받들어 읍하고, 신위전에 올리게 하시오. 북쪽을 향해 서십시오.
*祭酒(제주) 술을 땅에 붓는 의식입니다.
*執事者二人 奉考妣位前盤盞 立於獻官之左右(집사자이인 봉고비위전반잔 입어헌관지좌우) 집사자 두 사람은 각기 고위와 비위전의 반잔을 받들고 헌관 좌우에 서시오
*獻官跪 (헌관궤) 헌관은 꿇어 앉으십시오
*執事者亦跪 (집사자역궤) 집사자도 꿇어앉으시오.
*獻官受 考位前盤盞 右手取盞 祭酒于地(헌관수 고위전반잔 우수취잔 제주우지) 헌관은 고위전 반잔을 받아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절반을 땅에 세 번에 나누어 부으십시오.
*以盤盞授執事者 反之故處(이반잔수집사자 반지고처) 반잔을 집사자에게 주어 원래 자리에 올리게 하시오.
*受妣位前盤盞 右受取盞 祭酒于地(수비위전반잔 우수취잔 제주우지) 비위전의 반잔을 받아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절반을 땅에 세 번에 나누어 부으십시오.
*以盤盞授執事者 反之故處(이반잔수집사자 반지고처) 반잔을 집사자에게 주어 원래 자리에 올리게 하시오.
*俛伏興(면복흥) 헌관은 고개 숙여 엎드렸다가 일어나십시오.
*少退立(소퇴립) 조금 물러나 서십시오.
*執事者進炙(집사자진적) 집사자는 계적을 올리고 끈을 풀고 사지를 빼시오.
*獻官再拜(헌관재배) 헌관은 두 번 절하십시오.
*降復位(강복위) 물러나 원래 자리로 돌아가십시오.
*執事者二人 分進神位前(집사자이인 분진신위전) 집사자 두사람이 나누어 신위 앞으로 나아가시오
*扱匙正筯 (삽시정저) 숟가락을 밥그릇에 꽂고 젓가락을 바르게 놓으시오.
*在位者皆俯伏食頃(재위자개부복식경) 모든 참제원은 부복하여 9식경동안 기다리십시오.
*祝三噫歆(축삼희흠) 축관은 먼저 일어나 으흠 세 번 하시오.
*在位者皆興(재위자개흥) 참제원은 모두 일어서십시오.
*進茶(진다) 숭늉을 올리는 의식입니다.
*執事者二人分進茶湯于 考妣位前(집사자이인 분진다탕우 고비위전) 집사자 두 사람은 나누어 고위와 비위전에 숭늉을 올리시오
*點茶(점다) 밥을 조금 떠서 마시오.
*鞠躬(국궁) 참제원 모두 잠시 허리를 숙이십시오.
*平身(평신) 허리를 펴 바로 서십시오.
*執事者下匙筯 闔飯蓋(집사자하시저 합반개) 집사자는 수저를 내리고 모든 제수 뚜껑을 모두 덮으시오.
*行辭神禮(행사신례) 사신례를 올리겠습니다.
*獻官以下皆再拜(헌관이하개재배) 헌관 이하 모든 참제원은 두 번 절하십시오.
*祝焚祝(축분축) 축관은 축문을 사르십시오.
*執事者 掇饌(집사자 철찬) 집사자는 철상 하시오
*禮畢 (예필) 예를 모두 마칩니다.
贊者及 有司 詣 神位前 皆再拜찬자급 유사 예 신위전 개재배찬자와 유사 모두 신위전에 나아가 재배한다.

2. 陵洞 春秋享祝文

(1) 陵洞 始祖墓 春享 祝文(능동 시조묘 춘향 축문)

維 유
歲次(年干支) ○月(干支)朔 ○日(干支) ○世孫 某官某 세차 년간지 모 월 간 지 삭 모 일 간 지 기세 손 모관모
敢昭告于 감 소 고 우
始祖高麗 三韓壁上 三重大匡 亞父功臣 太師府君之墓 시조고려 삼한벽상 삼중대광 아보공신 태사부군지묘
天燈南麓 壽封斯崇 功巍德洽 裕裔隆宗 每歲寒食 천등남록 수봉사숭 공외덕흡 유 예 융 종 매 세 한 식
精禋是恭 陟降如在 於昭威容 尙 정 인 시 공 척 강 여 재 오소위용 상

饗 향

□글자풀이□
* 麓(산기슭 록) * 巍(높고 클 외) * 裔(후손 예) * 禋(정결히 제사할 인) * 歆饗(흠향) : 神明이 제물을 받아서 먹음.

□해 석□
세차 ○년 ○월(간지) ○일(간지) ○세손 ○가 송구함을 무릅쓰고 시조 고려 삼한벽상 삼중대광 아보공신이신 태사부군께 감히 아뢰옵니다. 천등산 남쪽 기슭에 오랜 봉분(封墳)이 높사오니 공(功)도 높고 덕(德)이 높아 후손에게 넉넉하고 융성하게 하셨습니다. 해마다 한식날에 공손(恭遜)하고 경건(敬虔)하게 제사를 드리오니 오르내리는 듯하며, 거룩하신 위용(威容)을 뵈옵는 듯하옵니다. 흠향(歆饗)하여 주시기 바라옵니다.

(2) 陵洞 始祖墓 秋享 祝文(능동 시조묘 추향 축문)

維 유
歲次(年干支) ○月(干支)朔 ○日(干支) ○世孫 某官某세 차 년간지 모 월 간 지 삭 모 일 간 지 기세 손 모관모
敢昭告于 감소고우
始祖高麗 三韓壁上 三重大匡 亞父功臣 太師府君之墓 시조고려삼한벽상 삼중대광 아보공신 태사부군지묘
有赫其業 有烈其光 蔚玆燈麓 冠屨攸藏 雲仍歲省 霜露興感 유혁기업 유렬기광 위자등록 관구유장 운잉세성상로흥감
敬詫一斝 庶幾降鑑 尙 경하일가 서기강감 상

饗 향

□글자풀이□
* 蔚(우거질 울, 위) * 屨(삼신 구) * 仍(인할 잉) * 기광(其光)=
威光(위광) : 남에게 외경(畏敬)될 만한 덕의 힘. 범하기 어려운 위엄(威嚴) * 詫(하) 고할 하 *斝(술잔 가)

□해 석□
세차 ○년 ○월(간지) ○일(간지) ○세손 ○가 송구함을 무릅쓰고 시조 고려 삼한벽상 삼중대광 아보공신이신 태사할아버님께 감히 아뢰옵니다. 공(功)을 세운 업적(業績)이 혁혁(赫赫)하시어 위광(威光)이 열열(烈烈)하시옵니다. 이 울창(鬱蒼)한 천등산 기슭이 할아버님의 묘소이옵니다. 후손들이 해마다 성묘하오나 서리치고 이슬 찰 때 감회가 더욱 깊습니다. 공경(恭敬)히 술을 올리오니 여기 내려오셔서 감찰하시고 흠향(歆饗)하여 주시기 바라옵니다..

(3) 郎中公壇所 春享 祝文(낭중공단소 춘향 춘문)

維 유

歲次(年干支) ○月(干支)朔 ○日(干支) ○世孫某官某세차(년간지) 모월(간지)삭 모일(간지) 기세손모관모
敢昭告于 감소고우
顯○代祖考 高麗郎中府君之壇 於皇府君 肇基玆土 位躋郎中 현몇대조고 고려낭중부군지단 오황부군조기자토 위제낭중
澤流遺裔 翳然楸壟 深目無徵 奄築壇墠 粗伸微誠 택류유예 예연추롱 심목무징 엄축단선 조신미성
雨露玆辰 懓然愴惕 栥明醑旨 庶幾昭格 敬奉 우로자진 애연창척 자명서지 서기소격 경봉
顯○代祖妣 夫人陽川許氏 配食 尙 현몇대조비 부인양천허씨 배식 상

饗 향

□글자풀이□
* 於(탄식할 오) * 肇(시작할 조) * 翳(가릴 예) * 懓(僾)(어렴풋 애) * 僾然(애연) : 어렴풋이 보이는 모양 * 壟(무덤 롱) * 無徵(무징) : 증거(확증)가 없음. * 奄(문득 엄))

□해 석□
세차 ○년 ○월(간지) ○일(간지) ○세손 ○가 송구함을 무릅쓰고, ○대 할아버님 고려낭중부군(高麗郎中府君)께 감히 아뢰옵니다. 아! 큰할아버지께서 이 땅에 신기(新基)를 잡으셨습니다. 벼슬은 낭중(郎中)에 오르셨고 덕택(德澤)은 후손에게 미치옵니다. 묘소(墓所) 일듯 싶사오나 증좌(證左)를 찾을 길 없어 이에 신단(神壇)을 축설(築設)하여 조그마한 성의(誠意)를 펴나이다. 비와 이슬이 내리는 이때를 당함에 뵈올 것 같아 슬프기 그지없습니다. 정결(淨潔)한 제수(祭需)와 맛 좋은 술을 올리며 격식을 갖추어 ○대 할머님 부인(夫人) 양천허씨(陽川許氏)도 공경히 받들어 모셔서 배식(配食)케 하나이다. 흠향(歆饗)하여 주시기 바라옵니다.

(4) 郎中公壇所 秋享 祝文(낭중공단소 추향 춘문)

維 유
歲次(年干支) ○月(干支)朔 ○日(干支) ○世孫某官某세 차 년 간 지 모 월 간 지 삭 모 일 간 지 기 세손모관모
敢昭告于 감소고우
顯○代祖考 高麗郎中府君之壇 현 몇대 조 고 고려낭중부군지단
繼始爲祖 濬發洪源 慶流千億 永世可諼 氣序流易 계시위조 준발홍원 경류천억 영세가훤 기서유역
霜露旣降 瞻掃壇壝 冞增感愴 謹以 淸酌庶羞 상로기강 첨소단유 미증감창 근이 청작서수
祗薦 歲事 敬奉 지천 세사 경봉
顯○代祖妣 夫人陽川許氏 配食 尙 현몇대조비 부인양천허씨 배식 상

饗 향

□글자풀이□
* 濬(깊을 준)* 冞(두루 다닐 미) * 愴(슬퍼할 창) * 感愴(감창)-感慕(감모)하는 마음이 움직여 슬픔 * 祇(공경할 지)

□해 석□
세차 ○년 ○월(간지) ○일(간지) ○세손 ○가 송구함을 무릅쓰고, ○대 할아버님 고려낭중부군(高麗郎中府君)께 감히 아뢰옵니다. 시조를 계승(繼承)한 할아버님으로서 넓고 깊은 근원의 발초(發初)이 옵니다. 경사(慶事)가 수많은 자손에게 미치니 영세(永世)토록 가히 잊겠습니까. 절기의 차례가 바뀌어져서 서리와 이슬이 이미 내리 옴에 제단을 돌아보고 청소하니 감모(感慕)하는 마음이 더욱 더하옵니다. 공손(恭遜)히 맑은 술과 모든 제수로써 매년 행사로 제사를 올리며 ○대 할머님 부인(夫人) 양천허씨(陽川許氏)도 공경히 받들어 모셔서 배식(配食)케 하나이다. 흠향(歆饗)하여 주시기 바라옵니다.



회원로그인

보학

안동권씨 대종회
서울시 동대문구 왕산로 22길 11(2층) 안동권씨 회관 / 전화: (02) 2695-2483~4 / 팩스: 02-2695-2485 / email andongkwonmun@daum.net
안동사무소: 경북 안동시 태화동 418-1 안동권씨 화수회관 3층 / 우 760-905 / 전화 054-854-2256, 857-7705 / 팩스 054-854-2257
회비, 종보비 입금계좌 국민은행 033237-04-006941  / 농협 317-0009-7471-41  예금주: 안동권씨대종회
본 싸이트에 게재된 저작물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Copyright © 안동권씨 대종회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Human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