득성 유래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득성 유래  Home  > 선원/시조 > 득성 유래 
 

안동권씨 득성유래와 성화보 (安東權氏得姓由來와 成化譜)


[안동권씨의 득성유래는 주지의 사실이나 후학들을 위해 소개하면서 겸하여 규장각에 소장된 우리나라 최초의 족보인 성화보 그리고 잘 정리된 신사보(辛巳譜 서기1701년 발행), 갑인보(甲寅譜 1734년 발행) 후갑인보(後甲寅譜 1794년 발행)에 수록된 시조 및 아시조님에 대하여 소개한다. 성화보는 조선조 초기(朝鮮朝 初期)인 성종(成宗) 7年 서기 1476년에 창간하였으며 양촌 권근(陽村 權近公)의 子 지제공 권제(止齊公 權?)가 가보소첩(家譜小牒)을 편수한데서 비롯하여 제(?)의 아들 소한당 권람(所閑堂 權擥公)이 선지(先志)를 받들어 널리 수소문하여 많은 자료를 수집하였으나 그 역시 끝을 맺지 못하였던 것을 그의 내종 서거정(內從 徐巨正)이 상주판관 박창원(尙州判官 朴昌元)과 대구부사 최호원(大邱府使 崔灝元)이 더불어 보완하여 도보2권(圖譜2卷)을 만들었다. 이것을 더 보완하여 3秩(질)로 편찬(編纂)한 것을 외손(外孫) 경상감사 윤호(慶尙監司 尹濠)에게 부탁하여 안동부(安東府)에서 간행(刊行)한 것이 성화보(成化譜)이다.
 

 

大輔公金閼智와 得姓由來

img4-3-9.jpg

大輔公金閼智와 得姓由來

新羅 脫解王九年 乙丑 王夜聞 金城西始林 有鷄鳴聲 遲明遣瓠視之金色小?掛樹 白鷄鳴其下瓠公還報 王使取?開之有兒在其中 姿容奇偉王喜 曰豈非天遣我以令胤乎 遂收養之及長聰明多智乃名閼智 以其 出金?姓金氏 改始林名鷄林以爲國號 第十二代王沾解無子 國人立閼智六世孫味鄒爲王(東史高麗名臣金富軾 曰 閼智生勢漢 生阿道 生首留 生郁甫 生仇道 生味鄒 爲助貴王壻因繼 沾解王立承 新羅大統歷三十七王) 此金氏有國之始
신라 탈해왕구년 을축 왕야문 금성서시림 유계명성 지명견호시지금색소독괘수 백계명기하호공환보 왕사취독개지유아재기중 자용기위왕희 왈개비천견아이령윤호 수수양지급장총명다지내명알지 이기 출금독성김씨 개시림명계림이위국호 제십이대왕첨해무자 국인입알지육세손미추위왕(동사고려명신김부식 왈 알지생세한 생아도 생수류 생욱보 생구도 생미추 위조귀왕서인계 첨해왕입승 신라대통력삼십칠왕) 차김씨유국지시


신라 석탈해왕 9년 봄 어느 날 밤 금성시림(지금의 계림)에서 닭 우는 소리가 들림에 王은 포공(匏公)에게 명하여 그 연유를 알아보게 하였다. 王의 명을 받은 포공은 시림으로 가서 살펴본즉 뜻밖에도 거기에는 금빛 찬란한 금궤가 나무에 걸려있고 그 옆에는 큰 흰닭이 울고 있어 포공은 크게 괴이하게 생각하며 그 사실을 왕에게 고하였다. 王 또한 크게 놀라 그 금궤를 가져다 열어본즉 그 금궤 안에는 얼굴이 준수하고 아주 잘 생긴 옥동자가 들어있었다. 王은 매우 기뻐하며 이는 하늘이 짐(朕)에게 점지해 주신 아들이라 하시고 정성을 다해 양육하였더니 아이는 지극히 총명하고 지략(智略)이 뛰어나 王은 이 아이를 후사로 정하고 이름을 알지(閼智)로 하고 금궤에서 탄생하였다 하여 성(姓)을 김(金)이라 하였다. 첨해왕이 후사가 없어 알지의 6세손 미추로 왕을 삼으니 이가 곧 대보공 김알지(大輔公 金閼智)로 오늘날 신라김씨(新羅金氏)의 시조(始祖)인 것이다.(동사 고려 김부식은 알지는 세한을 낳고 세한은 아도를 낳으며 아도는 수유를 낳고 수유는 욱포를 낳고 욱포는 구도를 낳고 구도는 미추를 낳으니 미추왕 이후 김씨 37왕이 신라의 대통을 이었다고 하였다.)




계림 경주시 교동
新羅敬順王三年己丑三月 甄萱圍古昌郡 與金宣平 張貞弼 倡義佐高麗太祖王建 庚寅正月破甄于甁山 義聲大振 麗祖喜 曰金幸能炳幾達權 可謂權乃賜姓權 金之爲權 自此始焉 賜姓權拜 (詳見各典故)
신라 경순왕삼년기축삼월 견훤위고창군 여김선평 장정필 창의좌고려태조왕건 경인정월파견우병산 의성대진 려조희 왈김행능병기달권 가위권내사성권 김지위권 자차시언 사성권배 (상견각전고)


신라경순왕3년 견훤이 고창군을 포위하니 김행은 김선평 장정필과 함께 창의하여 고려태조왕건을 도와 경인정월 병산에서 일전으로 견훤군을 격파하여 의성이 크게 떨치니 왕건은 기뻐하며 김행은 기미에 밝고 권도에 통달하였다. 하며 권씨로 사성하니 이로서 김씨가 권씨로 된 시작이다(전고대방)


태사묘전경 안동시북문동
賜姓權拜 太相陞郡爲安東府食邑位至 三韓壁上三重大匡亞父功臣太師(墓碣 新道碑銘) 태상승군위안동부식읍위지 삼한벽상삼중대광아부공신태사(묘갈 신도비명)
권씨로 사성하고 태상벼슬을 주어 안동군을 부로 승격시켜 식읍으로 내렸으며 삼한벽상삼중대광아보공신태사의 벼슬을 주었다.

 


태사묘
安東權氏家譜序(成化丙申譜)權本新羅宗姓金氏也 羅季有金幸者守古昌郡 時甄萱入新羅弑王辱妃高麗太祖赴救與萱相持 幸謨於衆曰萱義不共戴天 ?歸王公以雪痛憤 遂迎降 麗祖曰 幸能炳幾達權乃賜姓權 授太師以郡爲食邑陞爲安東府(중략)
권본신라종성김씨야 라계유김행자수고창군 시견훤입신라시왕욕비 고려태조부구여훤상지 행모어중왈훤의불공대천 합귀왕공이설통분 수영항 려조왈 행능병기달권내사성권 수태사이군위식읍승위안동부


권씨는 본래 신라 왕성인 김씨이다. 신라 말 김행이란 분이 계시어 고창군을 지킬 때 견훤이 신라를 침입하여 왕을 시해하고 왕비를 능욕하니 고려태조가 구원코자 와서 훤과 서로 대치하니 행이 좌중과 모의하여 말하기를 「훤은 의로 하늘아래 같이 할 수 없는 원수이니 왕공에게 귀순하여 통분을 씻지 않으리오.」하고 드디어 영접하여 항복하니 고려태조는 「행은 능히 기미에 밝고 권도에 통달하였다.」하면서 권씨로 성을 주고 태사의 작위를 내렸으며 군을 식읍으로 하고 안동부로 승격키켰다. -중략-

시조 태사공 권행묘소
權氏世以淸白 傳家忠孝爲心 爲子孫者 可不念祖宗 積之之勤 而思所以 繼之之道乎 記曰 人道親親也 親親故尊祖 尊祖故敬宗
敬宗故收族 若能始於親親 推及九族 則所以厚本敦末者 豈有窮哉 時曰 無念爾祖 聿修厥德 吾更爲權氏子孫勖之 成化紀元之十二年蒼龍丙申正月上日 純誠明亮佐理功臣 崇政大夫 行議政府左參贊兼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 同知經筵事 達城君徐居正剛中?
권씨세이청백 전가충효위심 위자손자 가불염조종 적지지근 이사소이 계지지도호 기왈 인도친친야 친친고존조 존조고경종
성화보 규장각에 소장
경종고수족 약능시어친친 추급구족 칙소이후본돈말자 개유궁재 시왈 무념이조 율수궐덕 오경위권씨자손욱지 성화기원지십이년창룡병신정월상일 순성명량좌리공신 숭정대부 행의정부좌참찬겸예문관대제학지성균관사 동지경연사 달성군서거정강중서


권씨는 대대로 청백으로 가문을 전하며 충효로 근본을 삼으니 자손된자가 바르게 조종의 근면을 생각치 않을 수 없으며 도의를 계승할 바를 생각지 않겠는가. 예기에 이르기를 사람의 도리는 어버이를 친하게 한다 하였으니 어버이를 친하게 하는 고로 조선을 공경하고 조선을 공경하는 고로 종족을 공경하며 종족을 공경하는 고로 족친이 모이나니 만약 어버이를 친하게 하는데서 비롯하여 능히 이를 구족에 까지 미친다면 근본을 두텁게 하고 끝을 돈독히 한다면 어찌 궁함이 있겠는가. 시경에 이르기를 네 조상에게 염려되지 않게 하여 그 덕을 닦으라 하였으니 내 다시 권씨 자손을 위하여 힘쓰노라. 성화기원12년 창룡병신 정월초하루 의정부 자참찬겸 대제학 서거정



능동재사 안동시서후면 성곡동
辛巳譜
一代 始祖權幸
高麗三韓壁上三重大匡亞父功臣太師 麗史諱作行本姓金新羅宗姓 墓在府西二十里天燈山南金溪上造火谷午向 原廟在府城內同時功臣金宣平張貞弼?享春秋仲月中丁行事寒食上塚
고려삼한벽상삼중대광아부공신태사 려사휘작행본성김신라종성 묘재부서이십리천등산남김계상조화곡오향 원묘재부성내동시공신김선평장정필병향춘추중월중정행사한식상총二代 子仁幸
郎中室陽川許氏大匡孔岩村主宣文之女 李益齋謂羅代祖父孫以一名蓋襲羅俗而然也云낭중실양천허씨대광공암촌주선문지여 이익재위라대조부손이일명개습라속이연야운


난중공 단소 설계도
甲寅譜
一世 權幸諱麗史或作行三韓壁上三重大匡亞父功臣太師 本姓金新羅宗姓麗太祖賜姓權 事見徐四佳序文府人思公之德立廟府城內 ?祀金太師宣平張太師貞弼墓在府西天燈山南造火谷午向原휘려사혹작행삼한벽상삼중대광아보공신태사 본성김신라종성려태조사성권 사견서사가서문부인사공지덕입묘부성내 병사김태사선평장태사정필묘재부서천등산남조화곡오향원
二世 子仁幸
郎中李益齋齊賢云羅人有祖子孫同名者盖時俗然也 夫人陽川許氏父大匡孔岩村主宣文此下十餘代墓所及夫人姓氏皆失傳
낭중이익재제현운라인유조자손동명자개시속연야 부인양천허씨부대광공암촌주선문차하십여대묘소급부인성씨개실전
後甲寅譜
權幸諱麗史或作行本金氏新羅宗姓 敬順王三年己丑十月甄萱圍古昌 公與同郡金公宣平張公貞弼倡義迎麗庚寅正月助戰破萱于甁山 麗祖特賜姓權拜大相 尋陞三韓壁上三重大匡亞父功臣太師 遺民思公之德立廟府司幷祀金張二公仝府西天燈南造火谷午向 今乙巳又建追遠祠于慶州雲谷
휘려사혹작행본김씨신라종성 경순왕삼년기축십월견훤위고창 공여동군김공선평장공정필창의영려경인정월조전파훤우병산 려조특사성권배대상 심승삼한벽상삼중대광아보공신태사 유민사공지덕입묘부사병사김장이공동부서천등남조화곡오향 금을사우건추원사우경주운곡

二世 子仁幸 郎中李益齋齊賢云羅人有祖子孫仝名者盖時俗然也 夫人陽川許氏父大匡孔岩村主宣文此下十餘代仝墓及夫人姓氏皆失傳 淸道孔岩村北亭子洞或云吾里洞有大塚俗傳權陵 英廟丙寅二十八世孫爀按本道遣裨尋驗未得 今戊申傍居崔哥破碑入莢之說入於營府推案故方收?尋求
낭중이익재제현운라인유조자손동명자개시속연야 부인양천허씨부대광공암촌주선문차하십여대동묘급부인성씨개실전 청도공암촌북 정자동혹운오리동유대총속전권능 영묘병인이십팔세손혁안본도견비심험미득 금무신방거최가파비입협지설입어영부추안고방수차심구<편>

 



회원로그인

선원/시조

안동권씨 대종회
서울시 동대문구 왕산로 22길 11(2층) 안동권씨 회관 / 전화: (02) 2695-2483~4 / 팩스: 02-2695-2485 / email andongkwonmun@daum.net
안동사무소: 경북 안동시 태화동 418-1 안동권씨 화수회관 3층 / 우 760-905 / 전화 054-854-2256, 857-7705 / 팩스 054-854-2257
회비, 종보비 입금계좌 국민은행 033237-04-006941  / 농협 317-0009-7471-41  예금주: 안동권씨대종회
본 싸이트에 게재된 저작물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Copyright © 안동권씨 대종회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Humansoft